
국내 의료진이 세계 최초로 노안과 백내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의료진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었으나, 이번 기술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한 진단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자가 형광(AF) 기술 활용…백내장·노안 정량 평가 가능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안과 엄영섭 교수 연구팀은 자가 형광(Autofluorescence, AF) 신호를 정밀하게 촬영하여 수정체 이상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최근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자가 형광이란 형광 물질을 외부에서 주입하지 않아도 조직 자체가 특정 파장의 빛을 받을 때 형광을 방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안구 조직에는 리포푸신과 같은 자연 형광 물질이 존재하며, 이를 촬영하면 망막 질환이나 이상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기존에는 주로 황반변성 등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데 활용됐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노안 및 백내장과 같은 수정체 질환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해졌다.
자가 형광 촬영 장치·평가 시스템 개발
이번 연구에서는 자가 형광 촬영 장치와 영상 평가 시스템이 함께 개발됐다.
- 자가 형광 촬영 장치: 특정 광원으로 눈을 조명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가 형광을 유도하고, 이를 영상 센서로 감지해 촬영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빛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분석 필터를 사용하여 보다 정밀한 자가 형광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 영상 평가 시스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해 수정체 혼탁도를 수치화하고, 백내장 등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수정체 이상 여부를 판별한다.
기존 백내장 진단 한계 극복
현재 백내장 진단 방식은 의료진이 현미경을 통해 직접 관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의료진의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될 수 있어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고, 의료진마다 진단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진단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불필요한 검사나 수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노안과 백내장의 진행 정도를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어, 환자 맞춤형 치료 및 수술 계획 수립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내·국제 의료 시장에서 주목
현재 전 세계적으로 노안 및 백내장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정체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엄 교수는 **“기존 백내장 평가 방식은 의료진의 경험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어 보다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했다”며 “이번 기술을 통해 백내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안과 질환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해당 기술이 국내 임상 연구를 거쳐 국제 의료 시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물에 대한 8가지 오해와 진실 – 세계 물의 날 특집
- ‘메디컬 코리아 2025’ 개최…AI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미래 조명
- 세계 최초 ‘노안·백내장 정량 평가 기술’ 국내 의료진 개발
- 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시장 경쟁 본격화…국내 기업 출시 잇따라
- 뇌졸중 환자 연 11만 명… 대사 위험이 주요 원인
이음새 공식 블로그
이음새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노안, 백내장, 자가형광, AF기술, 안과진단, 수정체평가, 의료기술, 백내장검사, 노안진단, 정량적평가, 안과장비, 형광영상, 의료혁신, 안과연구, 객관적진단
답글 남기기